우즈벡 사태 긴 안목으로 봐야 한다
우즈벡 사태 긴 안목으로 봐야 한다
  • 운영자
  • buyrussia@buyrussia21.com
  • 승인 2005.05.18 0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91년 구소련의 붕괴와 함께 독립한 민족 공화국들은 CIS 출범으로 독자 경영에 들어갔으나 지도층의 장기 집권과 경제 침체, 각종 사회정치적 이슈를 다루는 국가경영 능력 부재를 드러냈다. 민주화 의식이 높은 국가에서 부터 옛 체제를 부수려는 시도가 나타났고, 그루지야와 우크라이나,.키르기스스탄 등에서 시민혁명이 성공을 거뒀다.

유혈사태가 진행중인 우즈벡 역시 이런 시민 혁명 도미노의 연장선상에서 해석하는 시각도 있지만 우즈벡 사태는 몇가지 점에서 그 성격이 다른다..

우선 카리모프 우즈베크 대통령은 이번 반정부 시위를 시민혁명이 아닌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 의한 정부 전복음모라 규정하고 강경진압에 나서고 있다. 그의 주장처럼 이번 우즈베크의 반정부 시위는 이슬람 과격단체가 개입한 흔적이 있다. 이 때문에 카리모프와 일부 중앙아시아 지도자는 유혈진압에 대해 강경한 반대입장을 피력하지 않고 있으며 그루지야나 우크라이나 사태 때와는 달리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민주주의의 확산과 인권을 강조하며 그루지야와 우크라이나에서의 시민혁명을 적극 지지했던 미국이 유혈사태가 벌어진 우즈베크 사태에 대해서는 애써 외면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미국으로서는 비록 독재자이지만 친미적인 카리모프 대통령을 보호하는 게 9.11 이후 계속되는 테러와의 전쟁에서 미국의 국익을 보호하고 이슬람 과격세력의 확산을 막는 길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즈베크의 인접국인 러시아 역시 같은 입장이다. 국익 앞에서는 어떤 명분도 힘을 발휘할 수 없는 냉혹한 국제사회의 현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카리모프 우즈베크 대통령이 주장하고 있는 미국.러시아 등이 공감하는 과격 이슬람 단체의 중앙아시아 지역으로의 공세적 확산에 대한 방어 혹은 예방적 공격이라는 명분이, 이번 안디잔 과격 진압을 합리화하고 시민들의 동요와 후속 소요사태를 막을 수 있을 것인가.

우리는 과거 역사를 통해 사회 심리적인 요소, 즉 국가 내부 경제 파탄과 독재로 인한 국민의 정서적 황폐화가 이슬람 과격세력을 불러들이는 토양이 됐다는 교훈에 주목해야 한다. 아프가니스탄을 탈레반이 장악하고 있을 때와 비교해 탈레반 정권 붕괴 뒤 외부로부터 우즈베크와 중앙아시아에 대한 이슬람 과격세력의 확산 위험은 현저히 줄어들었다.

그러나 우즈베크의 심각한 경제적 빈곤과 권위적 정치체제, 만연한 부패와 약탈경제, 자유롭지 못한 역내 무역과 국경 통제로 인한 외부와의 고립 등은 우즈베크 국민에게 절망감을 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슬람 과격세력의 주장에 귀 기울이는 서민.빈민층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카리모프 우즈베크 대통령이 사태를 해결하고 정권의 안전을 보장받는 유일한 길은 유혈진압이 아니라 정치적 민주화와 부패 청산에 대한 의지를 즉각 천명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아울러 경제적 빈곤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경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동시에 국민에게 미래의 희망을 제시해야만 한다.

긴 안목에서 볼 때 유혈진압은 한 번도 성공한 적이 없다는 역사적 사실은 중앙아시아에서도 회피할 수 없을 것이다. 미국.러시아.한국 등 국제사회 역시 우즈베크의 민주화를 유도하고 경제 개발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통해 우즈베크는 물론 유라시아 대륙의 요충지인 중앙아시아 전체의 안정과 발전을 적극 도와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