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정상회담이 남긴 것- 러시아 G7 복귀는 없던 일로, 트럼프 왕따(?)는 여전
G7정상회담이 남긴 것- 러시아 G7 복귀는 없던 일로, 트럼프 왕따(?)는 여전
  • 이진희 기자
  • jhnews@naver.com
  • 승인 2019.08.27 06: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러시아 G7 복귀를 두고 프랑스와 미국의 신경전 치열, 주최국의 승리로
이란핵문제 해결 위해 외무장관을 불렀지만, 트럼프 외면 -주최국 머쓱

프랑스 비아리츠에서 26일 막을 내린 G7(주요 7개국) 정상회담이 개막 전부터 우리의 주목을 끈 이슈는 몇가지가 있다.

우선 아베 일본 신조 총리의 움직임이다. 경제 안보적으로 일본과 대결 국면에 들어선 우리로서는 아베 총리의 G7 정상회담 무대의 등장이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었다. G7 정상회담은 '정상회담의 정상회담'으로 불리기 때문이다. 아베 총리가 G7 회원국이라는 지위를 이용해 자신들의 입장을 미국 등 서방에 일방적으로 홍보할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다행히 외신이 특별히 주목하는 것은 없었다.

그 이유는 러시아의 G7합류에 대한 논쟁 때문으로 보인다. G7 의장국인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트럼프 미 대통령은 앞서거니 뒤서거니 러시아의 G7복귀 기대를 피력했다. 그러나 정상회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제외하고 G6 정상들이 모두 러시아 복귀를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 이유는 분명하다.  G7이 당초 서방민주주의 국가들의 정상회담으로 출발한 만큼 굳이 러시아를 합류시킬 필요가 없다는 명분론이 하나 있다. 또 현실적으로 러시아를 G8에서 제외한 직접적인 원인인 '우크라이나 내전 사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트럼프가 2020 G7에 푸틴대통령을 초청할 것이라고 약속했다는 기사 묶음 캡처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적인 이슈인 이란·시리아 문제 등에서 러시아의 역할이 핵심적"이라며 "G8차원의 공동대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공허한 메아리로 끝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폐막 기자회견에서 "쉽지는 않겠지만, 2020년 정상회의에는 러시아를 부를 것"이라고 했다. 러시아 언론은 그의 이 발언에 주목하고 있다. 

러시아의 G7 합류 논쟁 뒷 이야기도 무성하다. 마크롱 대통령은 G7정상회의 전에 열린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러시아 G7 복귀의 당위성'을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튿날 “나는 러시아를 G7안에 불러들이는 것이 훨씬 적절하다고 본다”고 한발 더 나갔다.

미국 언론은 "마크롱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러시아의 복귀를 미국측에 먼저 제안한 것"이라고 전했다. 발언 순서나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내용을 보면 틀리지 않는 보도로 보인다.

하지만 결정적인 요인이 빠졌다. 바로 마크롱 대통령이 러시아 복귀에 붙인 전제조건이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나온 뒤 “나는 어떤 조건도 달지 않고 러시아를 복귀시킨다면 G7이 무르다는 것만 보여주게 될 것"이라며 쐐기를 박았다.

G7정상회의는 2014년까지만 해도 러시아가 포함된 G7+1, 즉 G8이었다. 하지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였던 크림반도를 병합하자, 다른 회원국들의 반대로 정상회의 초청자 명단에서 제외됐다. 러시아가 크림반도 병합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게 마크롱 대통령의 전제조건이다. 

미국이 러시아의 G7복귀 명분의 하나로 내세웠던 이란핵합의에서도 유럽과 미국은 팽팽히 맞섰다고 한다. 7개국 정상들이 이란 핵합의 유지 노력의 중요성과 홍콩의 자치를 지지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채택했지만, 주최측의 사전 계획(?)에 따른 성과라는 평가도 없지 않다. 

마크롱 대통령은 정상회의 기간에 이란의 하산 로하니 대통령과 통화하고,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교장관을 25일 비아리츠 G7 회담장에 불러들였다. 이번 회의를 통해 미국과 이란간에 대화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는 노력이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자리프(장관)이 오는 줄은 몰랐다”고 피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유럽대륙을 대표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줄곧 '핵합의 준수'를 설득했지만, 곧 한계에 부딪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G7결산 기자회견에서 "여건이 올바르게 조성되면 이란 대통령을 만나겠다"고 답변한 게 그나마 얻은 성과다. 

외신들은 G7 정상들이 이란 문제 등 주요 이슈에서 일정 부분 타협하며 의견의 접근을 이뤄낸 것으로 평가한다. 작년 6월 캐나다 퀘벡 G7 정상회담에서 정상들 간의 극심한 이견으로 공동선언(코뮈니케)을 도출하는 데 실패한 것에 비하면 의미 있는 진전으로 해석된다. 작년에는 G7 회담이 끝난 뒤 보호무역주의와 관세장벽을 배격한다는 공동성명이 발표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곧바로 반발하는 진풍경이 벌어져 G7 정상회의의 존재 가치가 사라졌다는 혹평도 나왔다. 

집권 후 본격 외교 데뷔전을 치르는 존슨 영국 총리는 비교적 조용하게 지나갔다. '영국의 트럼프'로 불리는 그는 기존의 EU 탈퇴합의안의 재협상을 요구했지만, 독일과 프랑스등으로부터 재협상 불가 입장을 통보받았다. 다만 앞으로 한 달 간 브렉시트를 둘러싼 교착 타결을 위해 집중 논의 기간을 갖기로 합의한 상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