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부총리, 한-러 수교 30주년에 '신북방정책'의 성과 겨냥, 본격 가동 의지
홍 부총리, 한-러 수교 30주년에 '신북방정책'의 성과 겨냥, 본격 가동 의지
  • 김진영 기자
  • buyrussia1@gmail.com
  • 승인 2020.01.21 06: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올해는 러시아 및 몽골과 수교 30주년이 되는 해”라며 “북방국가들과의 협력증진이 집중되는 신북방 협력의 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사진/기획재정부

 

노태우 전대통령 시절의 북방정책이 소련 동구권과의 수교를 겨냥한 것이라면, 신북방정책은 유라시아 국가와 평화유지, 협력을 강화하는 경제·외교·안보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북한과의 협력도 포함된다. 그래서 남북한과 러시아 3국의 철도·가스·물류 등 인프라 구축, 한-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중국의 경제협력체인 ‘일대일로’ 참여 등이 구체적으로 거론된다. 

무엇보다 러시아와의 협력 확대가 신북방정책의 핵심이다. 북한을 통과하는 철도·전기·가스 인프라 구축에 조선·항만·북극항로·농림·수산·산업단지 협력 등 문대통령이 제안한 나인 브릿지(9개 다리) 협력 체계 확대가 목표다. 

홍 부총리가 새해들어 '신북방 협력의 해'라는 단어를 들고나온 것은 한-러 수교 30주년을 계기로 ‘신북방정책’의 실행에 시동을 걸고 성과를 거두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그는 ‘한·러수교 30주년 기념사업’ 준비위원장도 맡기로 했다. 범 정부차원에서 협력의 틀을 갖추겠다는 뜻이다. 

다만 남북한 화해를 바탕으로 하는 일부 프로젝트는 여전히 말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북미 대화 등 한반도 문제가 여전히 꼬여 있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 미 대통령이 유럽의 대 러시아 에너지 협력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상황에서 러시아와의 에너지 협력이 제대로 이뤄질지 불분명하다. 미국은 셰일가스의 생산량 급증으로 자급자족 상태를 넘어 해외 판매를 겨냥하고 있다. 소비량이 많은 유럽과 동아시아 지역이다. 우리 정부가 미국의 가스 구매 요구를 거부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