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현재 추진중인 러시아-유라시아경제연합(EA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성공적으로 타결하면, 무역수지가 연간 21억달러 가량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EAEU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 5개국으로 구성된 관세동맹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6일 발표한 '신북방정책의 경제적 효과 분석: 한-러시아/EAEU FTA' 보고서에서 "신북방정책이 무역수지 개선 및 수출 다변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한러 수교 30주년인 올해 러시아와 서비스·투자 FTA 협상을 본격화하고, 상품 분야까지 확대된 포괄적인 한-EAEU FTA 추진 계획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한-EAEU FTA가 체결될 경우 대 러시아 수출이 40%, EAEU 수출이 56% 증가할 것이라며 한국의 무역수지는 연 21억달러의 개선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대러 무역수지 개선효과는 연 24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가장 큰 수혜는 자동차 분야에서 나올 것으로 분석됐다. 한-EAEU FTA 발효시 상품 분야의 무역수지는 소폭 줄어들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됐지만, 자동차 운송 부문은 약 30억 달러의 무역수지 개선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자동차 운송은 러시아 수출이 54%, 기타 EAEU 국가 114%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정재원 연구위원은 "천연자원이 풍부한 러시아 등 신북방정책 대상 국가들은 에너지 수요가 많고 산업이 발달한 한국과는 경제구조 상호 보완성이 매우 높다"며 "한-러시아 서비스·투자 FTA를 조속히 타결하고 상품분야로 확대하는 등 경제협력 방안을 폭넓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