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는 지금) 강경 진압 작전 이틀째, 러시아군 알마티 공항 장악, 나자르바예프 동상 무너졌다
(카자흐는 지금) 강경 진압 작전 이틀째, 러시아군 알마티 공항 장악, 나자르바예프 동상 무너졌다
  • 이진희 기자
  • jhman4u@buyrussia21.com
  • 승인 2022.01.08 11: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자흐스탄의 반정부 시위가 7일 최대 도시 알마티를 중심으로 엿새째 계속됐으나, 장갑차량을 앞세운 군경의 무력 진압으로 이날 하루만에도 수십명의 희생자가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알마티에선 전날(6일) 날이 어두워지면서 도심의 '공화국 광장'을 중심으로 시위인파가 늘어났고, 당국은 무력 진압에 나섰다.

날이 밝은 뒤 드러난 시위 현장과 주변도로에는 한바탕 전쟁을 치른 듯, 불에 타거나 총격을 받은 차량들이 나뒹굴고, 차량 안에서는 숨진 시민의 모습도 카메라에 포착됐다. 주변의 간이 마트는 약탈을 당한 듯 창문은 깨지고 상품은 내팽겨쳐진 채 어수선한 모습이었다. 

토카예프 카자흐 대통령, 테러리스트를 향해 조준 사격 허용/얀덱스 캡처

러시아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 공수부대를 주축으로 한 CIS 안보동맹인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평화유지군의 확고한 지원을 확인한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은 7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반정부 시위대를 '폭도' '테러리스트' '살인자' 등으로 몰아붙이면서 진압군에게 경고 없이 조준사격을 가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고 밝혔다. 토카예프 대통령은 또 서방 측의 '시위대와 협상' 요구를 일축하면서 "국내외에서 온 훈련받은 무장세력과의 협상은 없다"며 강경 진압 방침을 거듭 확인했다.

그는 "약 2만명의 무장 폭도들이 알마티를 공격했다"고 강조하며 "알마티와 다른 지역의 보안 당국이 이들의 공격 징후를 미리 포착하지 못했다"며 사전의 대비 부족과 초기 대응 실패를 자인하기도 했다. 나아가 "소위 자유 언론매체와 외국의 운동가들이 카자흐스탄의 소요를 선동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여론전에도 적극 나섰다. 

무장차량들의 알마티 진입/러시아 TV채널 NTV 캡처
총탄 자국이 선명한 자동차 앞 유리/NTV 캡처
차량 안에 숨져 있는 한 시민/현지 매체 rbc 유튜브 캡처

카자흐스탄에서 시위가 격렬한 곳은 이번 사태의 진원지인 카스피해 인근 지역과 알마티, 알마티 주 일대, 우즈베키스탄와 가까운 제 3의 대도시 쉼켄트 등인 것으로 보인다. 사상자도 이 지역에서 많이 나왔다.

카자흐스탄 내무부는 이날 오후 "현재까지 전국에서 3천811명의 시위 참가자가 체포됐다"며 "26명이 사살되고, 비슷한 수가 부상했다"고 밝혔다. 진압 군경에서도 희생자가 적지 않았다. 

가장 큰 도시인 알마티에서는 지난 이틀간 군경의 강력한 무력진압 작전이 진행됐다. 시위대 집결 장소인 공화국 광장은 이제 자동소총을 든 군인들이 장악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군용트럭과 장갑차도 배치돼 있다고 러시아 언론이 이날 전했다. 

시위대 진압을 위해 전진하는 진압군경/NTV 캡처

알마티에서 멀지 않은 알마티주 주도 탈디코르간에서 복면을 한 수십명이 구치소를 공격하는 등 폭력 행위가 이어지고, 초대 대통령 나자르바예프의 동상이 땅으로 거꾸러지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또 3대 도시 쉼켄트에서는 군경에 체포된 일부 시위자들이 돈을 받고 시위에 참가했다는 목소리가 TV를 통해 흘러나와 충격을 안겨줬다. 쉼켄트의 부시장은 "일부 시위자들이 돈을 받고 폭동(시위)에 가담했으며, 각성제나 술에 취해 스스로 통제력을 잃었다"며 부모들을 향해 "자녀들이 불법 시위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막아줄 것"을 당부했다. 일부 시위 참가자들이 번호판도 없는 차량에서 총기를 지급받는 장면이 방영되기도 했다. 

이번 사태의 진원지인 카스피해 연안의 망기스타우 주도인 악타우에서는 중앙광장에 설치된 시위대의 텐트(유르트) 2개를 놓고 군경과 시위대간에 뺏고 뺏기는 신경전이 벌어졌다. 시위대는 이날 유르트를 2개를 광장에 설치했으나, 곧 설거됐고, 몇시간 후에 다시 유르트가 등장했다. 

그러나 알마티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안정과 질서를 되찾으면서 인터넷의 접근 차단도 조금씩 풀리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카자흐스탄 당국은 지난 2020년 여름 벨라루스의 대선불복 시위 사태에서 학습효과를 얻은 듯, 시위가 전역으로 확산되자, 시위대의 네트워크 차단을 위해 곧바로 인터넷의 모바일 연결을 끊었다. 벨라루스의 민스크 시위에서는 반정부 텔레그램 계정 '넥스타'가 시위대의 움직임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시민들에게 전달하며 가두 시위를 선동(?) 혹은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토카예프 대통령도 일부 지역에서 인터넷 연결을 지시했다고 확인하면서 "그렇다고 인터넷 접근이 선동적 호소와 대정부 비방및 모욕 등을 자유롭게 허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여차하면 다시 차단할 것임을 시사했다. 

카자흐스탄 군경의 시위대 진압에는 러시아의 공수부대를 주축으로 한 CSTO 평화유지군이 직접 참여하지 않았다. 러시아 국방부 측은 "평화유지군이 6일부터 임무 수행에 들어갔다"면서 "그러나 시위 진압 작전에는 참여하지 않고, 국가 주요시설의 경비 임무만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역할 분담은 CSTO와 카자흐스탄 정부와의 합의에 따른 것으로 확인됐다. 러시아군이 시위 진압에 나설 경우, 카자흐스탄 민족성을 자극해 사태가 더욱 악화하거나 반러시아 감정이 확산되는 것을 우려한 것으로 짐작된다. 

카자흐스탄에 도착한 러시아 평화유지군/현지 TV 영상 캡처
러시아 평화유지군, 카자흐스탄 법집행기관과 함께 알마티 공항 통제권 장악/얀덱스 캡처

러시아 평화유지군은 가장 먼저 알마티 국제공항을 장악, 통제에 들어갔다. 러시아 국방부는 7일 "카자흐스탄의 법 집행기관과 함께 알마티 공항의 통제권을 장악했으며, 주 알마티 러시아총영사관과 기타 주요 시설에 대한 안전을 확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러시아군 소속의 IL-76 수송기 10여대로 도착한 CSTO 평화유지군의 규모는 2천500명 정도로 전해졌다. CSTO 회원국인 러시아와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이 모두 병력을 파견했다. 

토카예프 대통령은 CSTO 평화유지군의 파병에 대해 "평화유지군은 짧은 기간에 주요시설의 보호를 위해 우리나라에 왔다"고 설명했다.

시위대의 주요 정치적 요구 조건인 나자르바예프 초대 대통령(세력)의 완전 축출과 관련, 현지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소문들이 수없이 나돌고 있다. 토카예프 대통령이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을 국가안보위원회 의장에서 해임한 뒤 그의 소재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르다(Orda.kz) 등 일부 자유 매체에 따르면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은 지난 6일 딸 등 가족과 함께 카자흐스탄을 떠나 인근 키르기스스탄의 수도 비슈케크로 갔다고 한다. 카자흐스탄에는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의 형 볼라트 (나자르바예프)만 남아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하지만, 비슈케크 공항 측은 이튿날 나자르바예프 가족이 탄 항공기의 도착 사실을 부인했다.

또 나자르바예프 전 대통령의 조카인 사마트 아비쉬 전 국가정보위(전 KGB) 부의장이 전격 체포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오르다:나자르바예프와 그의 딸, 카자흐스탄 떠났다/얀덱스 캡처
트럭에 매달려 쓰러지는 나자르바예프 초대 대통령 동상/동영상 캡처 

키르기스 포털 '24.kg'도 항공기 추적 사이트 'Flightradar24' 서비스를 인용, 나자르바예프 가족과 연루된 항공기의 이착륙을 전하기도 했으나 사실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그의 동상이 철거되는 장면이 7일 밤 인터넷에 올라왔다. 영상에는 지난 5일 알마티주 주도 탈디코르간에서 나자르바예프 동상이 트럭에 묶여 땅으로 넘어지는 모습과 이를 본 시위대가 환호하고, 일부 시민이 뭉둥이로 동상을 패는 장면 등이 담겼다. 

해외에서는 카자흐스탄의 이번 시위를 주도한 지도자라고 주장하는 인물이 나타났다. 우크라이나로 도피한 무흐타르 아블리야조프 전 '투란 알렘' 은행의 은행장이다. 아블리야조프는 7일 스스로를 카자흐스탄 시위를 주도한 지도자라고 주장하며 "반정부 시위가 본궤도에 오르면 카자흐스탄으로 돌아가 '과도 정부'를 이끌 것"이라고 선언했다.

앞서 우크라이나 언론도 지난 5일 아블리야조프 전 행장이 카자흐스탄 반정부 시위를 배후 조종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 보도 역시, 믿기는 어려운 게 사실이다. 

무장투쟁단체 '카자흐스탄 해방전선' 등장/얀덱스 캡처

아블리야조프는 그러나 연일 SNS를 통해 카자흐스탄 국민들에게 행동으로 나서 줄 것을 촉구하며 "당국의 무력진압으로 희생자가 증가하면, 카자흐판 '유로마이단'(우크라이나의 정부 전복 대규모 시위)이 시작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우크라이나로 도피한 뒤 궐석재판으로 카자흐스탄에서는 종신형을, 러시아에서는 사기혐의로 15년 형을 선고받았다. 

또 CSTO 평화유지군에 대항하는 무장세력 '카자흐스탄 해방전선'이라는 조직도 모습을 드러냈다. 무장한 복면 남성 4명이 카자흐스탄 국기를 배경으로 "카자흐스탄 현 정부의 폭정과 CSTO 평화유지군에 맞서는 세력"이라고 선언하는 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다.

선언문은 “자신들은 알마티와 악타우 등 여러 도시에서 무력 투쟁을 벌였으며, 러시아 군대(평화유지군)의 카자흐스탄 진입을 '조국 점령'의 시작"이라며 "무력 진압을 정당화하기 위해 사전에 범죄 조직원들을 알마티에 풀어놨다"고 주장했다. 또 "토카예프 대통령이 벨라루스의 루카셴코 대통령, (유로마이단으로 축출된) 우크라이나의 야누코비치 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주권을 러시아로 넘기려하고 있다"며 "이를 막기 위해 무장투쟁에 나섰다"고도 했다.

그러나 '카자흐스탄 해방전선'의 조직이나 규모 등 실체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려진 게 없다. 

카자흐스탄 해방전선 /동영상 캡처

이들의 주장은 알마티에서 '무서운 아르만'으로 알려진 마피아 두목 아르만 주마겔디예프의 체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카자흐스탄 내무부는 주마겔디예프 등 마피아 조직원 6명을 알마티에서 전격 체포했다고 7일 발표했다. 그 과정에서 조직원들이 권총 등으로 저항한 것으로 보도됐다. 

시위 사태에 따른 피해도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7일 기준으로 이번 사태의 피해가 780억 텡게(약 1억 8,000만 달러)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특히 100여명의 과격 시위대가 지난 5일 알마티의 국가안보위 소속 무기고에서 휴대용 대공미사일 '이글라' 6기를 탈취해 갔다는 미확인 보도도 나왔다. 이후 진압에 나선 군경은 시위대가 버리고 간 불법 무기들을 하나씩 회수하는 중이다.

이날 알마티에서는 카자흐스탄의 래퍼이자 영화 감독인 사켄 비타예프가 시위대에 총격을 당해 사망했다는 비보가 전해지기도 했다. 그는 친구와 차 안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던 중, 과격 시위자들이 억지로 문을 열려고 하자 차를 출발시켰는데, 그들이 쏜 총에 맞아 절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약탈당한 마트(위)와 불탄채 버려진 자동차/러시아 매체 rbc 유튜브 캡처

한편, 프랑스를 방문한 유럽연합(EU) 행정부 수반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함께 가진 기자회견에서 "카자흐스탄의 상황이 매우 우려스럽다"며 폭력 사태 중단을 촉구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도 "미국과 세계는 (카자흐스탄에서) 어떠한 인권 침해가 일어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에게 보낸 구두 메시지에서 "중요한 시기에 단호하게 조치를 취해 사태를 신속히 수습한 것은 지도자로서의 책임과 임무, 국가와 인민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줬다"며 강경 진압에 지지를 표시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