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친러 우크라 반군의 버티기 전략이 '다자 정상 협상'서 승리했을 것이란..
러시아, 친러 우크라 반군의 버티기 전략이 '다자 정상 협상'서 승리했을 것이란..
  • 이진희
  • jhnews@naver.com
  • 승인 2015.02.07 0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서둘러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를 방문한 것을 보면 조만간 '버티기' 결과가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소위 '버티기' 전략은 러시아와 친러시아 반군이 우크라이나 사태 와중에 구사해온 외교전술이다. 서방진영이 경제제재를 가해도, 우크라이나가 무력으로 반군 진압에 나서도, 러시아는 끝까지 버티기로 일관해왔다. 그 사이에 러시아 경제는 엉망이 되고, 푸틴 대통령의 권위가 떨어졌지만, 이제 버티기는 그 끝물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보다 우크라이나 경제가 더 엉망이 되고, 친러 반군은 굳건히 버티는데도 우크라이나 정부군은 '공격 앞으로' 명령에 멈칫거리는 상황에서 서방도, 우크라이나 정부도 손을 들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간 것 같다. 유럽 대륙을 대표하는 독일과 프랑스 정상이 쫒기듯 서둘러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로 향한 것으로 보면 결과는 분명하다.

그동안 러시아에 압박을 가하던 태도를 바꿔 영토적 기득권을 지닌 우크라이나 정부에 일정부분 양보를 요구하면서 즉각적인 휴전및 평화적 분쟁 타결 방안을 내놓을 공산이 크다. 

외신에 따르면 올랑드 대통령과 메르켈 총리는 6일 오후 모스크바에 도착해 푸틴 대통령과 만났다. 전날 우크라이나 키예프를 방문해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과 5시간 가량 회담한 두사람은 별도의 기자회견을 갖지는 않았다. 다만 우크라이나 대통령 공보실은 자체 보도문을 통해 "정상들이 동부 지역 교전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는 점과 민스크 휴전협정 합의사항인 우크라이나로부터 외국군(러시아군) 철수, 중화기 철수, 러시아와의 국경 봉쇄, 포로 석방 등이 이행돼야 한다는 데 견해를 같이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주변에서는 올랑드 대통령과 메르켈 총리가 포로셴코 대통령에게 지난 9월의 민스크 협정을 일부 수정한 타협안을 제시했을 것으로 본다. 그동안 우크라이나 정부와 반군 간 협상에서 걸림돌이 돼온 전선 확정 문제에서 현재의 정부군과 반군 장악 지역을 기준으로 한 새로운 전선을 인정하면서 즉각적인 휴전을 하는 방안이 우선 제시됐을 것이란 추측이다. 반군 측은 지난 1월의 대대적 공세로 점령 지역을 확대한 바 있다. 

일단 현재의 전선을 인정하면, 그 다음은 유엔 평화유지군을 파견해 휴전 상황을 감시토록 하자는 방안이 나왔을 것으로 관측된다. 또 당장 해결이 어려운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의 지위 문제에 대해선 지난 1990년 몰도바에서 독립을 선포한 트란스니스트리아(러시아명 프리드녜스트로비예)처럼 하지는 안이 제안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올랑드 대통령과 메르켈 총리는 포로셴코 대통령과의 회담 결과를 들고 푸틴 대통령을 만나 다시 타협을 시도하는 셈이다.

이같은 타협안이라면 러시아로서는 반대할 이유가 없다. 버티기 전략의 승리이기 때문이다. 영토 분야에서 반군측 주장이 반영됐고, 국가적 지위는 몰도바 방식이니 손해볼 것이 없다. 다만 포로셴코 대통령이 어느 선까지 양보했느냐가 문제다.

사실 우크라이나로서는 경제상황이 참혹한 상태여서 어떤 식으로든 빨리 내전을 해결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서방의 대규모 경제지원을 받을 수 없고, 조만간 디폴트를 선언해야 할 지경으로 빠져들고 있다. IMF측도 최근 우크라이나 지원은 경제적 이유가 아니라 정치적 이유에 의한 것이라 규정한 바 있다.

독-프랑스 대통령이 중재를 서두르는 이유는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공급 카드를 꺼내 들었기 때문이다.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공급하게 되면 우크라이나 사태는 자칫 러시아가 본격 참전하는 전면전으로 확산될 수도 있다. 유럽대륙으로서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독-프랑스-우크라-러시아 회담에 맞춰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은 동부 지역 최대 격전지인 도네츠크주 데발체보에서의 교전을 멈추고 주민들을 원하는 지역으로 대피시키기로 합의하는 등 분위기 조성에 나섰다. 이 때문에 즉각적인 휴전과 유엔 평화유지군 주둔 등 큰 틀의 합의가 이루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항상 그래 왔듯 큰 원칙의 합의가 이루어지더라도 그것을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과 일정 등에서 견해 차이가 드러날 경우 합의는 '반쪽 짜리'에 그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