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약 DNA를 심은 블라디보스토크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약 DNA를 심은 블라디보스토크
  • 이진희
  • jinhlee@hk.co.kr
  • 승인 2012.09.13 0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블라디보스토크 APEC 정상회의를 전후해 현장을 다녀온 사람들에 따르면 블라디가 천지개벽할 정도로 변했다고 전한다. 사실 블라디는 오랫동안 외부사람들의 접근이 통제된 폐쇄도시 였다. 구소련 태평양함대의 모항이었기 때문이다.

그런 블라디에서 APEC 정상회의가 열렸다는 게 의미심장하다. 도시를 개방하고 태평양으로 뻗어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무엇보다 불편한 도시 인프라가 많이 개선됐다. 블라디보스토크 신공항 터미널에서 APEC 정상회의가 열린 루스키섬의 연륙교 앞까지는 50여㎞에 달하는데, 이 길을 30여 분 만에 주파할 정도로 도로를 닦았다. 이전 같으면 비좁은 길에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짜증스런 도심행이 되었을 것이다. APEC을 앞두고 닦은 새 도로와 다리가 블라디보스토크의 도시 기능을 크게 확장됐다.

새로 뚫린 대로나 연육교는 블라디 변화의 시작(볼쇼이 블라디보스토크)이라고 보면 된다. 태평양으로 난 창 격인 블라디보스토크에 대한 푸틴 대통령의 애정은 무한해 보인다.

푸틴 대통령은 회의 기간 내내 “APEC은 블라디보스토크와 연해주 발전의 첫 걸음이다. 이 지역의 전략적·지정학적 중요성을 감안할 때 반드시 확대 개발한다”고 누차 강조했다. “APEC 정상회의 준비에 6000억 루블(24조원)이나 썼다"는 이야기에는 “그중 절반(3000억 루블)은 블라디보스토크시에 가스를 제대로 공급하기 위해 사할린서부터 오는 가스관을 건설하는 데 들어갔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블라디-사할린 가스관처럼 블라디에는 APEC전에 선정된 60여 개 프로젝트도 진행중이다. 블라디보스토크시측은 “기존의 블라디보스토크시에 인근의 나홋카나 아르촘을 합쳐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이어 러시아 제3의 도시로 만들 계획"이라고 자랑한단다.

그 근저에는 러시아의 극동·시베리아 개발 전략이 숨어 있다. 메드베데프 전 대통령은 2009년‘2025년 극동·바이칼 지역 발전 전략’(명령 2094-p), 2010년엔 다시 ‘2050년 극동, 태평양 지역 발전 계획’(PL-713 명령)에 서명했다. 2012년 가을엔 푸틴 대통령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독려했다.

이런 상황에서 블라디보스토크 공항은 이미 ‘자유 취항 지역(Open Sky)’으로 지정돼 ‘관광객 1000만 시대’를 준비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